혼화재중에서 고로슬래그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고 고로슬래그의 제조과정, 미분말의 품질, 고로슬래그 적용한 콘크리트의 성질, 사용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로슬래그 고로슬래그란 철을 생산하는 용광로 속에서 철광석 중 암석성분이 녹아 첫물 위에 떠 있게 되는데, 이것을 흘러내리게 하여 물로 급격히 냉각시킴으로써 작은 모래입자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이와 같은 고로슬래그를 다시 분쇄기로 미분말이 되도록 분쇄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제조 고로 수쇄슬래그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미리 건조 시킨 후에 분쇄하여 제조하였지만 최근에는 열풍발생기를 장치한 롤러 밀을 사용하여 건조와 분쇄를 동시에 실시한다. 또한, 사용목적에 따라서 석고를 첨가하는 설비를 갖추기도 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쇄성은 고로슬래그의 성분, 제조 시의 냉각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분말 도가 클수록 분쇄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 (KS F 2563)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주요화학성분은 SiO₂, Al₂O₃, CaO 및 MgO로서 전화학성분 중 94~97%를 차지한다. 포틀랜드시멘트의 경우 MgO가 5% 를 초과하면 유리마그네시아가 생성되어 이상팽창의 원인이 되지만,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경우는 15% 정도를 포함하고 있어도 해가 없다고 보 고되고 있는데 대체로 9% 이하의 함유율을 갖는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 분말에 석고를 첨가한 경우는 초기강도의 개선 및 건조수축의 감소와 수 화열 억제가 가능하여 분말도 40m²/kg에서는 석고를 첨가하는 경우가 많으나, 고분말도 제품에는 장기강도 발현에 문제가 발생하여 첨가하지 않는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는 브레인값 비표면적으로 30~100 m²/kg의 분포를 나타내는데, 분말도가 클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많아져서 고가로 된다. KS F 2563에는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미 분말의 품질에 관한 사항이 표 2-15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기구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처럼 물과 접하는 것만으로 자기 촉발적 수화반응을 개시할 수 없는 잠재수경성 물질이다. 즉, 슬래 그와 물이 접촉하게 되면 슬래그 입자의 표면에 치밀한 불투수성 겔 박막 이 형성되기 때문에 입자 속까지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해되고 더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알칼리(Ca(OH) 2, KOH, NaOH)나 황산 염(CaSO₁) 등의 자극을 받으면 이 박막이 파괴되면서 군도구조의 겔로 변화되고, 슬래그로부터 이온의 용출과 불용성의 물질이 석출 되면서 경화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수화기구를 잠재수경성이라고 한다. 슬래그는 장기적으로 슬래그 질량의 약 10%에 해당하는 Ca(OH)과 결합하게 되는데, 포틀랜드시멘트는 약 25%의 Ca(OH)2을 생성 방출하 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시멘트의 75%까지 치환하 여도 그 전량을 활성시킬 수 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 ① 워커빌리티 및 공기량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특히, 분말도가 크고 치환율이 많을수록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단, 소정의 공기량을 얻는데 필요한 AE제의 첨가량은 분말도와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혼화제의 종류 및 콘크리트 비빔 시의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가능한 한 가까운 조건에서 시험을 행하고 배합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석고 첨가시의 공기량은 일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거나 석고를 첨가한 경우가 약 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② 블리딩률 및 응결시간일반적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가 커짐에 따라 블리딩률은 감소하는데, 이는 미분말의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응결시간의 경우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초결과 종결이 모두 지연되나 분말도에 따른 응결시간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③ 수화열 및 단열온도 상승일반적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 환율 약 30%까지는 수화열의 저감효과가 적은데, 이는 소량의 고 로슬래그 미분말이 공존하는 경우 클링커 광물의 수화를 촉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령 7일의 수화열은 분말도에 비례하 여 커지지만 재령 28일에서는 분말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열온도 상승의 경우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수화 초기에는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단열온도 상승량은 적 어지나 후반부에서는 단열온도 상승에 의하여 수화환경이 고온이 되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반응은 급속히 진행되어 치환을 50%까지는 치환율에 따라 단열온도 상승량이 증가하게 된다. ④ 압축강도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W/B와 거의 직선적인 관계에 있고, 치환율이 클수록 초기의 강도 증진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나 잠재수경성 반응에 의하여 장기강 도는 많이 증진된다. 분말도가 60m²/kg 이상인 경우에는 무혼입과 같은 정도의 초기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치환율 증가에 따라 서는 초기재령에서는 압축강도가 저하하지만, 장기재령에서는 치환 율이 70%가 되어도 압축강도는 상승한다. 또한, 양생온도가 저온 일 경우 초기강도의 증진이 둔화되나, 양생온도 30℃ 이상의 고온 양생에서는 초기강도도 높게 됨을 알 수 있다. ③ 중성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시멘트 수화반응에서 발생하는 Ca(OH)와 고로슬래그의 성분이 반응하여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보통 콘크리 트에 비해 빠르게 진행된다. 분말도와 중성화의 관계에서는 분말도 가 증가할수록 콘크리트가 밀실 하게 되어 중성화가 작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수중양생 기간이 길수록 중성화 깊이는 작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습윤양생이 중요하다. ⑥ 화학저항성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서는 포틀랜 드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생기는 수산화칼슘의 생성량이 적 고, 그 수산화칼슘은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 물이 되기 때문에 경화체중의 유리 수산화칼슘이 감소하고 팽창붕 괴의 원인이 되는 석고와 에트린 가이트의 생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황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토양과 수분에 대하여 화학저항성이 향상된다. 또한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황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해 수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된다. ⑦ 염화물이온 침투 저항성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서는 밀실한 경화체 조직이 형성되어 염화물이온(CI)의 침투를 억 제함과 동시에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12~15% 함유되어 있는 산 화알루미늄 성분(Al2O3)이 작용하여 염화물이온을 고정하는 생성물(프리델 씨 염: 3 CaO Al2O3 CaCl2 10H₂O)을 생성하기 쉽기 때 문에 해수 등으로부터 염화물이온의 침투를 억제한다. 사용시 주의사항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강도발현성 및 기타 물성에 있어서 양생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슬래그 미분말 이 작고 치환율이 큰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시공에서는 특히 초기 습윤양생과 양생온도의 확보가 중요하다. 사용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종류, 시멘트 종류, 슬래그치환율과 물결합재비 등의 배합조건, 구조물의 종류와 환경조건, 기상조건, 공사기간 및 시공방법 등에 의하여 양생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 또한 타설온도는 원칙적으로 10℃ 이상으로 하고 양생기간 중에도 콘 크리트의 표면온도를 10℃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설온도가 10℃ 이하의 온도에서는 타설 이후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기대할 수 없는 얇은 단면의 부재 등에서는 습윤양생 및 양생온도를 확보하는 기간 이 길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보온양생 및 급열양생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치며 지금까지 고로슬래그의 정의, 고로슬래그의 제조과정, 미분말의 품질, 고로슬래그 적용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