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골재의 종류와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특수골재는 부순골재, 경량골재, 순환골재가 있는데요. 해당 골재의 정의와 성질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특수골재 부순골재 부순골재는 현무암, 안산암, 경질사암, 경질 석회암, 화강암 기타 이에 준하는 석질의 암석을 파쇄기로 파쇄하여 만든 골재를 말하고, 응회암, 연질사암은 부순골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다. 화강암은 부술 때 균열 이 가기 쉬운 단점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부순모래와 강모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비교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5~10% 더 필요하고, 미 세분말양이 많아지면 슬럼프 저하로 잔골재율을 낮춰야 한다. 미세분량이 많아짐에 따라 공기량이 감소하고 응결시간인 초결과 종결이 빨라진다. 10% 이하의 미세분말양이면 압축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지면 공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필요시 AE제 양을 증가시 키도록 한다. 경량골재 구조용 경량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는 경석, 응회암, 팽창슬래 그, 팽창혈암, 소성 플라이애시, 석탄재 등이 있는데, 천연경량골재와 인 공경량골재로 구분하고 있다. 요구품질은 청정, 내구·내화적이고 유해물을 함유하지 말아야 하며, KS규격 및 시방서상 경량골재의 품질규정과 입도범위도 만족시켜야 한다. 경량골재의 품질 KSF 2534 (구조용 경량골재)에 따라 경량골재의 품질은 표 3-14와 같다. 순환골재의 품질 2003년 12월 국회입법으로 제정된 ‘건설폐기물재활용촉진에관한 제2000에서는 국토해양부 장관이 순환골재인 오디트 순한 공지침 등을 마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골리 준을 규정하고 있다.일반적으로 폐콘크리트 등 건설폐기물의 처리를 통하여 생산되는 쉬 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하여 품질이 낮아 이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하였을 경우에는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유동성 및 강도, 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인 이론이며, 아래와 같은 품질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순환골재의 생산을 위하여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는 환경에 유해한 화학물질, 악취, 콘크리트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새 해야 하며, 품질과 KSF 2526(콘크리트 용 골재)에서 규정하는 입도를 만족하여야 한다. • 순환골재의 유기이물질 함유량은 KS F 2576(순환골재의 이물질 유량 시험방법)에 의하여 골재속에 포함된 비닐, 플라스틱, 목재 이 등의 함유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치가 총 골재 용적의 1,0% 이 를 만족하여야 한다. • 순환골재에 혼입된 폐아스콘, 유리, 슬레이트, 자기류, 적벽돌 등 무기이물질 함유량은 KSF 2576(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한 법)에 따라 이물질을 분리·선별한 후 질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치 총 골재질량의 1.0% 이하를 만족하여야 한다. 기타 골재 이외에도 속이 비도록 강철로 제조된 경량골재, 연탄재골재, 슬래그골 재, 점토제품 폐기물골재, 철근이용 골재, 플라스틱 골재 및 마사토 골재 등 다양한 골재들이 특허 출원되어 있고, 또한 다양한 골재가 개발되고 있다. 마치며 지금까지 특수골재의 종류와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특수골재는 부순골재, 경량골재, 순환골재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