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혼화재료 개요와 정의

시멘트 혼화재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개요와 정의, 발전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멘트 혼화재료 개요

혼화 재료란 물리 및 화학적 작용에 의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경화한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거나 경제성 및 에너지 절약 등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기본 재료인 시멘트, 골재 및 물 이외에 혼입 시켜 사용하는 재료를 말한다. 또한, 혼화재료는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에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미래의 사회에는 콘크리트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재료로서, 개발 및 발전이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크다.

혼화재료 정의

혼화재료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혼합하여 소요의 성질을 부여하거나 또는 개선, 향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혼화재료는 시멘트, 혼합수, 골재 이외의 재료로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혼합 시 필요에 따라 한 성분으로 사용된다. 혼화재료는 여러 종류가 시판되고 있으나 사용 목적이 각각 다르며, 사용 방법과 효과도 다르기 때 문에 사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요구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혼화재료의 발전과정

혼화재료는 최초 고대 로마시대에 화산재, 무기질 재료를 위시한 소변, 짐승의 피, 우유, 돼지기름 등이 사용된 흔적이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역사는 1862년 독일의 E. Langen에 의해 고로슬래그의 잠재수경성이 발견되었고, 그 후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유효성이 입증되어 제조, 판매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AE제와 감수제는 193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실 리카퓸은 1950년 노르웨이 공과대학에서 최초로 실험이 시작되어 우수성 이 널리 입증되었고, 플라이애시는 1953년에 준공된 미국의 Hungry Horse 댐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그 후 고성능감수제와 유동화제가 1960 년대에 독일과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⑤ 강도, 수축, 내구성 등에 유해한 영향이 없을 것

⑥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이 없을 것

이 중 첫 번째에서 세 번째까지는 초기 성질에 관한 것, 네 번째

여섯 번째까지는 장기성상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철근콘크리트

내구성에는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혼화재료 사용 시 주의사항

혼화재료를 첨가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선택 및 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① 실험 결과 실적을 토대로 사용 목적을 확인
② 품질의 균일성을 보증
③ 운반, 저장 중 품질 변화가 없을 것
④ 혼합 이 용이하고 균등하게 분산 될 것
⑤ 두 종류 이상 사용 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에 주의
⑥ 과량 사용 시 유해한 결과 초래에 주의

마치며

지금까지 시멘트 혼화재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개요와 정의, 발전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