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부의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목표
환경부는 친환경 이동수단 확산을 위해 2025년까지 전기이륜차 2만 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160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특히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더 많은 지원금을 배정할 예정이다.

전기이륜차는 배달업과 물류산업이 성장하면서 점점 더 중요한 이동수단이 되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보다 탄소 배출이 적고, 소음이 낮아 도심 내 생활환경 개선에도 기여한다. 이번 보조금 정책은 소비자 부담을 줄이고, 친환경 이동수단의 확산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확대 및 지원
환경부는 전기이륜차의 보급과 함께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집중하고 있다. 올해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500기를 추가 설치하며, 이를 위해 5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특히,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의 표준화를 유도해 이용자의 편의를 높인다. 2023년 국가표준(KS표준)이 제정되었지만, 제조사마다 다른 배터리팩을 사용해 불편함이 있었다. 올해부터는 국가표준을 따르지 않는 충전시설에는 설치 비용을 지원하지 않기로 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3. 전기이륜차 보조금 정책 변경 사항
올해부터 보조금 정책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다.
- 충전속도가 빠른 차량 추가 지원
전기이륜차의 주요 단점으로 지적된 긴 충전시간을 개선한 차량에 한해 최대 1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된다. - 배터리 상태정보 제공 차량 우대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차량(디스플레이 또는 앱 제공)에도 추가 지원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배터리 상태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예기치 않은 배터리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4. 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 지원 확대
기존에는 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의 경우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비용이 제외되어 보조금 지급 비율이 60%로 설정되었으나, 올해부터는 70%로 확대된다.
이는 교환형 배터리가 구조적으로 용량을 크게 늘리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조치로, 배터리교환형 모델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되었다.
5. 전기이륜차 시장 전망 및 기대 효과
전기이륜차는 도심지 내 대기오염 저감과 생활소음 감소 측면에서 내연기관 대비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다.
환경부의 이번 정책은 업계의 기술 혁신을 유도하고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보조금 지원과 충전 인프라 확대가 지속된다면 전기이륜차의 대중화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전기이륜차 보조금 및 충전시설 지원 지침은 3월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ev.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4월 중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는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편의성 향상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정부의 정책 지원이 강화되는 만큼,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전기이륜차를 선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전기이륜차 구매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보조금 혜택을 받는 방법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