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의 제성질 – 요구품질, 물리적 성질

골재의 제성질중에서 골재에 요구되는 품질, 관계되는 골재의 성질, 골재의 물리적인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골재의 요구품질

골재는 콘크리트 전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료로서, 그 성질은 콘 크리트의 여러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표 3-3에 제시되어 있는 요구조건을 반드시 만족시켜야 한다.

반응에 의한

• 단단하고 강한 것(시멘트페이스트 이상),
• 표면이 거칠고 구형에 가까운 것.
• 입도분포가 양호한 것(연속 입도분포).
• 청정한 것.
• 내화성이 있는 것.
• 운모가 함유되지 않은 것.
•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

콘크리트 구

품질에 미치는 골재의 영향 골재의 성질은 콘크리트의 여러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골재의 품질에 따라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하여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품질에 관계되는 골재의 영향

① 내구성 콘크리트의 품질
•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및 습윤조건에 대한 저항성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성
• 마모에 대한 저항성
• 알칼리 골재반응 저항성

② 강도

③ 수축

④ 선팽창계수

⑤ 열팽창계수

관계되는 골재의 성질

• 안정성, 공극률, 공극구조, 투수성, 포수 정 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점토의 존재

• 선팽창계수

• 경도

• 특수 실리카질 성분의 존재 유무

• 강도, 표면의 거칠기, 청정, 입형, 최대치수 •탄성계수, 입형, 입도, 최대치수, 청정 여부, 점토 존재

• 선팽창계수

• 열팽창계수

골재의 물리적 성질

• 비열

• 밀도, 입형, 입도, 최대치수, 함수량

• 탄성계수, 푸아송비

• 임형, 입도, 최대치수, 제조공정 생산량, 공급의 난이도

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KS F 2526 규정은 표 3-5에 나타낸 바 와 같다. 골재의 성질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및 경화 콘크리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골재는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고 소요의 내화성,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허용값


점토 덩어리, 연한 석편 등 골재의 유해물질은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 구성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허용값은 KS F 2526에 표 3-6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골재의 입도

골재의 입도란 골재의 작고 큰 입자의 혼합된 정도를 말하며, 입도분 포의 측정은 체가름시험(KSF 2502)에 의한다. 골재의 입도분포의 좋고 나쁨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입도가 좋은 골재는 실적률이 크고,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적게 된다.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와 펌퍼빌리티(pumpability)를 좋 게 하기 위해서는 골재에 0.3mm 이하의 미세한 입자분이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미세한 입자분이 많아지면 단위수량이 증가하여 건조수축, 강도 및 내구성이 낮은 콘크리트가 된다.

체가름시험

골재의 체가름시험은 잔골재의 경우 100~500g, 굵은 골재의 경우는 사용하는 골재의 최대치수의 0.2배를 kg으로 표시한 양을 기준으로 실시하며, 사용하는 체는 0.15, 0.3, 0.6, 1.2, 2.5, 5, 10, 15, 20, 25, 30, 40, 80(mm)가 사용된다. 또한, 체진동을 위한 시험기는 보탤 체가름시험기(Ro-tap shaker)가 사용된다.

체가름 시험방법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으로 우선 채취시료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분법 혹은 시료분취기를 이용하여 골재를 채취한다. 

마치며

지금까지 골재의 제성질중에서 골재에 요구되는 품질, 관계되는 골재의 성질, 골재의 물리적인 성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